워드프레스 설치형과 가입형 차이

워드프레스 설치형과 가입형 차이

워드프레스 설치형과 가입형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워드프레스를 가지고 2가지 형태로 사이트를 제작 및 운영을 할 수 있습니다. 첫째는 설치형으로 프로그램만을 다운로드하여 도메인과 호스팅 서비스를 구매해 운영하는 것입니다. 또 다른 방법은 가입형으로 회원가입만으로 블로그를 운영하는 것입니다.

워드프레스

WordPress는 코딩 없이 웹사이트를 만들 수 있는 웹 제작 응용 프로그램입니다. 전 세계 개발자들이 참여한 최대 콘텐츠 관리시스템(Content Management System: CMS)입니다. 코딩 없이 텍스트, 사진, 동영상 등의 콘텐츠를 온라인에 손쉽게 게시할 수 있으며 블로그, 포트폴리오, 비즈니스, 전자상거래 쇼핑몰 등 다양한 형태의 사이트를 제작할 수 있습니다.

WordPress는 2003년에 맷 뮬렌웨그가 오프소스로 배포한 프로그램이었으나 현재 세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웹사이트 구축 플랫폼으로 성장했습니다. 이 소프트웨어는 GNU 공중 사용 허가서로 배포되며 다운로드와 사용이 자유롭습니다. 오늘날 wordpress는 전 세계 인터넷 웹사이트의 제작에 대략 40%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WordPress.org & WordPress.com

WordPress를 접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입문자들의 경우 wordpress에는 2 개의 사이트가 있다는 것을 모른다고 합니다. 실제로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적지 않은 블로거들이 워드프레스에는 2개의 사이트 wordpress.orgwordpress.com가 있다는 것에 모르고 사이트 제작이 들어간다고 합니다.

흔히 국내 사용자들은 wordpress. org를 설치형으로 그리고 wordpress.com을 가입형이라고 부르는 데 두 사이트의 차이에 알아보겠습니다. wordpress로 블로그 제작을 계획 중이라면 wordpress에 대한 기본 지식과 wordpress.org와 wordpress.com 이 두 사이트의 차이에 대해 한번쯤은 들어 두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

WORDPRSS.ORG

wordPress.org는 워드프레스 무료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 물론 이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해 컴퓨터에 설치했다고 사이트가 작동하는 것은 아닙니다.

웹 사이트를 온라인상에서 볼 수 있으려면 도메인이 필요하며 카페 24나 블루 호스트 등과 같은 웹 호스트에 설치해야 합니다. 그래서 wordpress.org를 ‘self-hosted wordpress‘라고도 부르기도 합니다. 다시 말해서 무료 설치 프로그램을 가지고 구매한 도메인과 호스팅으로 만들어진 100% 자신의 사이트를 의미합니다.

또한, wordpress.org 에선 테마, 플러그인 등 관련된 각종 정보를 얻을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커뮤니티 활동도 할 수 있습니다.

wordprss.org 사이트 이미지
워드프레스 설치형과 가입형 차이 (Credit: wordpress.org)

WORDPRESS.COM

WordPress.com은 2005년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오토매틱(Automattic.) 사가 운영합니다. 무료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개설할 수 있지만 영리 호스팅 블로그 서비스도 공급합니다.

wordpress.com는 관리 호스팅과 함께 워드프레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웹 사이트를 구축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즉, 호스팅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기 때문에 별도로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할 필요도 없습니다.

즉, wordpress.com 에서 블로그를 제작하는 것은 네이버나 티스토리처럼 서비스를 지원하는 업체에 속한 블로그입니다. 블로그 주소명에 티스토리 블로그 주소에 tistory.com이 붙는 것과 마찬가지로 블로그주소에 “.wordpress.com“이 들어갑니다.

wordpress.com 사이트 이미지
워드프레스 설치형과 가입형 차이 (Credit-wordpress.com)

워드프레스 설치형과 가입형 차이 (ORG vs. COM)

워드프레스를 처음 접하는 경우 WordPress.org와 WordPress.com의 차이에 대해 혼란스러울 수도 있습니다. 워드프레스 설치 프로그램은 오픈 소스 웹 제작 소프트웨어이며 개인이나 회사가 소유하지 않습니다.

워드프레스에 익숙한 사용자의 경우 wordress.com와 wordpress.org 비교의 글을 보면 실제로 무엇에 대해 설명하려는 지 알 것입니다. 하지만 wordpress에 대해 익숙지 않는 경우 com vs. org의 비교라고 표현하면 다소 혼란스러울 수도 있을 듯싶습니다.

WordPress.org에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사이트를 시작하는 경우를 흔히 설치형이라고 부릅니다.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한 뒤 직접 도메인과 호스팅 서비스를 구매해 자신 소유의 사이트를 직접 만드는 것입니다.

반면 WordPress.com 에선 기본적으로 도메인이나 호스팅 서비스를 구매할 필요 없으며 계정을 등록하면 무료로 블로그를 만들 수 있습니다. 흔히 이를 가입형이라고 부릅니다. 이 가입형 워드프레스 블로그의 단점은 플러그인 설치가 자유롭지 못하며 애드센스 등의 수익형 활동 등에도 제한이 따릅니다.

wordpress.com에서도 유료 서비스를 신청하며 도메인을 가질 수 있고 무료 서비스에서 제한되었던 플러그인 사용 등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설치형 워드프레스보다 많은 비용이 들 수 있으며 여전히 설치형보다는 자유롭지 못합니다. 즉, 수익을 위해 워드프레스 블로그 개설을 고려한다면 설치형 블로그로 제작해야 합니다.

맺음말

워드프레스 설치 파일을 가지고 2가지 방법으로 사이트를 만들 수 있는 데 wordpress.com과 wordpress.org를 둘로 나누어 비교한 이유는 누가 호스팅 하냐에 따라 차이점을 비교하기 위한 목적입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wordpress를 시작한다고 하면 네이버나 티스토리 블로그와 비슷한 형태의 서비스인 가입형이 아니라 완전히 자신 소유인 설치형으로 사이트를 만드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워드프레스란? 장점과 단점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