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프레스 ads.txt 문제 해결 방법 3가지

ads.txt

워드프레스 ads.txt 문제 해결 방법에 대한 글입니다. 애드센스를 승인받은 뒤 광고 수익과 관련된 안내문이 뜨는 데 ads.txt가 무엇이며 왜 설치해야 하는 알아봅니다. 또한, ads.txt 파일을 워드프레스 사이트에 추가하는 3가지 방법에 대해서도 간단히 소개합니다.

안내문

대부분의 경우 티스토리에 비해 구글 애드센스(Adsense) 광고 승인을 받기 위해 워드프레스 블로그에 투자한 시간이 적지 않았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오랫동안 기다렸던 애드센스 승인 메일을 받고 애드센드 사이트에 접속했는 데 예상하지 못한 광고 관련 안내문을 보고 신경이 쓰입니다.

ads.txt 문제 해결 방법

뭔지 잘 모르지만 수익에 심각한 영향이 있다니 당장 어떻게 해야 하나 싶은데 걱정할 사항도 아니고 해결 방법도 간단합니다. 안내문은 수익에 심각한 영향이 끼칠 수 있으니 ads.txt 파일 문제를 해결하라고 합니다. 그리고 하단에 파일을 다운로드한 후 사이트의 루트 수준 도메인에 업로드하라고 하는 내용입니다.

도대체 ads는 무엇이며 이 파일을 업로드해야 하는 이유와 문제 해결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Ads.txt 란?

IAB(미국 인터넷광고협회: Interactive Advertising Bureau)는 불법적인 온라인 광고로 인해 년간 $ 6 billion의 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 광고 공급망 정리를 위해 계획을 세웠습니다. IAB의 프로젝트의 목적은 브랜드와 광고주가 정품 디지털 미디어를 구매할 수 있도록 돕고, 불법적인 광고를 통한 판매 이익을 얻는 것을 막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2017년 5월 미국인터넷광고협회(IAB) Tech Lab이 해결책으로 내놓은 것이 ads.txt입니다.

IAB

ADS는 Authorized Digital Sellers의 약어이며 글자 그대로 공인 디지털 판매자를 의미합니다. Ads.txt는 주로 도메인 스푸핑(Spoofing)과 차익 거래와 같은 특정 유형의 광고 사기를 막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졌습니다.

도메인 스푸핑(Spoofing)은 광고를 무단으로 변경하거나 프로그램을 통해 플랫폼을 속여 사용자가 합법적인 사이트를 방문한 것으로 생각하게 합니다. 하지만 광고는 다른 불법 사이트에 나타나거나 숨겨진 웹 브라우저의 페이지에 표시되기도 합니다.

두 번째는 차익거래인 데 이는 광고를 사들인 후 변경하여 더 높은 가격에 재판매하는 방식입니다. 광고 사기는 아니지만 정상적인 거래는 물론 아니며 여전히 음지에서 이뤄지고 있는 관행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불법적인 행위가 오랫동안 존재했던 이유는 광고주들이 광고가 게시된 사이트를 실제로 확인하기 힘들기 때문이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ads 파일을 통해 인벤토리의 공인 리셀러가 누구인지 표시함으로 도메인 스푸핑과 차익거래를 막을 수 있는 장치를 마련했다고 보면 됩니다.

Ads.txt 문제 해결 방법

ads 파일 문제 해결 방법은 간단한데 3가지 방법에 대해 간단히 적어 봤습니다. 가장 쉬운 방법은 플러그인을 활용하는 것이며 두 번째는 파일질라와 같은 FTP 사용하여 업로드하는 방법입니다. 추가로 국내 사용자가 많은 Bluehost에서 File Manager를 통해 파일 추가하는 방법도 적어봤습니다.

사실 실제로 이뤄지는 작업은 파일 하나를 추가하는 것이기에 플러그인 사용을 추천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만약 FTP 사용에 익숙하지 않을 경우 일단 플러그인을 통해 설치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일 수 있습니다.

플러그인 활용

ads.txt Manager 플러그인

가장 쉽게 파일을 설치하는 방법으로 워드프레스가 제공하는 플러그인 Ads.txt Manage 플러그인을 활용하는 것입니다. 사용법은 간단한데 우선 플러그인 새로 추가로 들어가 설치한 후 활성화합니다. 설치가 완료된 플러그인은 알림판의 설정에 위치하는 데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텍스트를 붙여 넣을 수 있는 공간이 보입니다.

애드센스에서 다운로드한 adx.txt 파일을 열어 내용을 복사해 붙여 넣고 저장하면 모든 작업이 완료됩니다.

ads.txt 플러그인 사용법

파일질라/FTP 활용

두 번째는 파일 작업을 위해 많아 사용하는 파일질라로 파일을 업로드하는 방법입니다. FTP를 사용하는 블로거라면 별 어려움 없이 설치할 수 있을 것입니다. 파일 업로드 위치는 wp-admin과 wp-content가 있는 폴더에 업로드해 주면 됩니다.

파일질라

Bluehost File Manager 활용

bluehost 사이트 사용자의 경우 호스팅 사이트에 로그인 후 좌측 메뉴 하단에 Advanced에 들어가 Files 섹션에 File Manager로 들어갑니다. File Manager에선 파일질라와 마찬가지로 파일을 직접 업로드하거나 삭제가 가능합니다. 

bluehost_file manager

File Manager 들어가서 최상단 메뉴 중 upload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파일을 첨부할 수 있는 박스가 나타납니다. 박스의 Select File 버튼을 클릭한 다음 애드센스에서 다운로드해 둔 ads.txt 파일을 업로드합니다.

bluehost_upload file

업로드가 정상적으로 이뤄지면 ads.txt 파일이 우측면에 wp-admin과 wp-content와 같이 저장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작업이 정상적으로 완료 되었는 지 확인하려면 브라우저에 자신의 사이트 주소 뒤에 /ads.txt를 붙여 넣으면 파일의 내용이 나타납니다. 

bluehost_ads.txt 파일 추가

맺음말

ads.txt는 미국 인터넷 광고 협회(IAB)가 광고 사기나 정상적이지 않은 거래를 통해 발생할 수 있는 손실을 막고자 마련한 솔루션입니다. 애드센스 승인을 받은 블로거는 ads.txt 파일을 루트 수준의 도메인에 업로드하기만 하면 됩니다.

ads 파일 추가 작업은 간단하며 파일이 업로드된 이후 2~3일 정도 뒤 애드센스에 ads.txt 안내문이 보이지 않을 것입니다. 이따금 호스팅 업체의 하드 작업 등으로 해당 안내문에 다시 나타나는 경우도 있는 데 1~2일 정도 기다리면 해결된 것으로 표시됩니다.

#워드프레스 차일드 테마 설치 방법